The 23rd International

November

Design Culture Conference

7 & 8, 2025

The 23rd International Design Culture Conference

November 7 & 8, 2025

Apply for "Uncomputable" workshop with Taeyoon Choi

Design Education Futures

The design industry is constantly changing, from the introduction of digital processes into design, to the impact of internet networks, and accelerations in computer hardware and software making huge impacts. Furthermore, today design education is facing many economic and structural challenges as the global economy faces unpredictable challenges. Now, we’re bracing for a new “disruption” as AI is poised to reshape all forms of white collar work.

Within this context IDCC 2025 explores how design education can adapt and innovate. Responding to the current landscape of design industry and research, and looking ahead at how design education can be transformed in a global context while anticipating what’s to come.

Contac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Department of Design, Office
Host
Department of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Organization
BK21 Education Research Group for Cultivating Design Leaders with Social Senstiv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Visual Art Institute
There is no fee to participate. Coffee will be provided in the afternoon, and lunch will be provided on Saturday Nov. 8th. Foreign speakers talks will be delivered in English or Japanese, with translation provided via AI transcription for all sessions, and live translator during Q+A for select sessions.

디자인 교육의 미래

디자인 산업은 디지털 프로세스의 도입, 인터넷 네트워크,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급속한 발전 등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경제가 예측 불가능한 미래를 직면하면서 오늘날 디자인 교육은 경제적·구조적 도전 과제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제 AI가 모든 형태의 화이트칼라 직업군을 대체할수도 있다는 위기 앞에서, 우리는 새로운 '파괴적 변화'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IDCC 2025는 디자인 교육이 어떻게 변화에 적응하고 혁신할 수 있는지 탐구합니다. 현재 디자인 산업과 연구의 현황에 대응하며, 글로벌 맥락에서 디자인 교육이 어떻게 변모할 수 있는지 전망하고 미래를 예측합니다.

문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사무실
주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주관
BK21 사회적 감수성을 실천하는 디자인 리더 양성 사업단 조형연구소
참가비는 없습니다. 오후에는 커피가 제공되며, 11월 8일 토요일에는 점심이 제공됩니다. 해외 연사의 발표는 영어 또는 일본어로 진행되며, 모든 세션에서 AI 실시간 전사를 통한 번역이 제공되고, 일부 세션의 질의응답 시간에는 현장 통역이 제공됩니다.
Friday, Nov 7, 2025
10:00 Jung Eui-Chul
정의철 (Opening Address / 개회 인사)
10:10 Chris Mitchell
크리스 미첼 (RCA, UK)
11:10 Eugene Park
유진 박 (UMN, USA)
12:10 Lunch Break
점심 시간
13:30 School of Commons
스쿨 오브 커먼즈 (ZHdK, CH)
14:30 Andrea Steves
안드레아 스티브스 (NABA,IT – HDK-Valand, SE)
15:30 Chan Shin Park
박찬신 (PaTI, KR)
16:30 E Roon Kang
강이룬 (KAIST, KR)
Saturday, Nov 8, 2025
10:10 Kenya Hara
하라 켄야 (Musashino, JP)
11:30 Matthieu Becker
마튜 베커 (GOBELINS, FR)
12:30 Lunch Break
점심 시간
13:30 Hyojung Seo
서효정 (SADI, KR)
14:30 Min Guhong
민구홍 (New Order 새로운 질서, KR)
15:30 Taeyoon Choi
최태윤 (WSU, USA)
16:30 INNOEDU Forum with Seungmin Kim (Hanbat, KR), KwanMyung Kim (UNIST, KR), Byunghak Ahn (Hongik University, KR), Jiwon Lee (Kookmin University, KR), and Kyuha Shi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KR), hosted by Jangsub Lee (SNU, KR)
김승민 교수 (한밭대학교, KR), 김관명 (UNIST, KR), 안병학 (홍익대학교, KR), 이지원 (국민대학교, KR), 심규하 (한국예술종합학교, KR) 함께하는 INNOEDU 포럼 (사회: 이장섭 (SNU, KR))

Speakers

Andrea Steves
Andrea Steves
NABA, IT | HDK-Valand, SE
Chan Shin Park
Chan Shin Park
Paju Typography Institute, KR
Chris Mitchell
Chris Mitchell
Royal College of Art, UK
E Roon Kang
E Roon Kang
KAIST, KR
Eugene Park
Eugene Park
University of Minnesota Twin Cities, USA
Hyojung Seo
Hyojung Seo
samsung art and design institute, KR
Kenya Hara
Kenya Hara
Musashino Art University, JP
Matthieu Becker
Matthieu Becker
GOBELINS, FR
Min Guhong
Min Guhong
New Order, KR
Taeyoon-Choi
Taeyoon Choi
Wayne State University, USA
School of Commons
School of Commons
Zürcher Hochschule der Künste, CH
INNOEDU Forum
KwanMyung Kim, Seungmin Kim, Kyuha Shim, Jiwon Lee, and Byunghak Ahn, hosted by Jangsub Lee
INNOEDU Forum

Day One

Friday, Nov 7

10:00
Jung Eui-Chul
정의철

Opening Address

개회 인사

10:10
Chris Mitchell
크리스 미첼

Making meaning through design education

This presentation will explore how design education can help people engage with wicked problems in a complex, uncertain and changing world. It discusses how to bring people together to apply their intellect and imagination to shared challenges on themes such as climate disruption, social fragmentation and AI. It reflects on the experience of delivering collaborative models of design education that enable students to follow their curiosity, make sense of complex issues and make meaning through participatory methods that engage with diverse people, technologies, cultures. In doing so, it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design education to transform our understanding of and experience of the world.

디자인 교육을 통해 의미 만들기

이 발표는 디자인 교육이 복잡하고 불확실하며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세계에서 사람들이 ‘난제(wicked problems)’에 참여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기후 변화, 사회적 분절, AI와 같은 주제를 중심으로, 지적 능력과 상상력을 활용해 공동의 과제에 함께 접근할 수 있는 방식을 논의합니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의 호기심을 따라가며 복잡한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사람·기술·문화와의 참여적 방법을 통해 의미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협업 기반 디자인 교육 모델을 실천한 경험을 되돌아봅니다. 이를 통해 디자인 교육이 우리가 세계를 이해하고 경험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11:10
Eugene Park
유진 박

The Shape of Knowledge: Data as a Material for Design

Data permeates nearly every aspect of our everyday lives. From weather forecasts to fantasy sports, the utility of data can range from education to entertainment. The numbers behind a dataset can serve a scientific purpose that only a handful of experts can understand, or it can represent election results that require careful and accurate visualizations to the larger public. And at a time when falsehoods spread online through misrepresentation of numbers, there is a need for designers to be trained in data literacy along with the proficiency to shape new experiences with different types of data. Recognizing this need, this presentation will discuss the creative potential of data visualization that intersects with graphic design practice.

Moving beyond the conventional practices and assumptions in the fields of data visualization and information design, this talk raises the question of how designers can create new forms of knowledge through explanatory and/or exploratory visualizations that are clear enough to inform while also employing novel approaches to engage audiences. Case studies ranging from visualizing participant expertise for an academic conference, museum APIs, meeting transcripts, environmental datasets, and topic modeling will be presented to show the breadth and depth of opportunities of using data as a material for creative inquiries. Ultimately, this talk seeks to advocate for a future in which design educators can empower and equip the next generation of designers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to make the invisible visible through the visual articulation of data.

지식의 형태: 디자인을 위한 재료로서의 데이터

데이터는 우리의 일상 전반에 스며들어 있습니다. 일기예보부터 판타지 스포츠까지, 데이터의 효용은 교육에서 엔터테인먼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합니다. 하나의 데이터셋이 담고 있는 숫자는 소수의 전문가만 이해할 수 있는 과학적 목적을 수행하기도 하고, 대중에게 정확하고 신중한 시각화가 요구되는 선거 결과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그리고 숫자의 왜곡을 통해 온라인에서 허위 정보가 확산되는 오늘날, 디자이너들은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다루어 새로운 경험을 만들기 위한 능력뿐 아니라 데이터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필요를 인식하며, 이 발표는 그래픽 디자인 실천과 교차하는 데이터 시각화의 창의적 가능성을 다룹니다.

데이터 시각화와 정보 디자인 분야의 기존 관행과 전제를 넘어, 이 발표는 디자이너가 설명적·탐색적 시각화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지식을 어떻게 만들어낼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합니다. 이러한 시각화는 정보를 전달할 만큼 명확하면서도 관객을 참여시키기 위한 새로운 접근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학술대회의 참가자 전문성 시각화, 미술관 API, 회의 기록, 환경 데이터셋, 토픽 모델링 등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해 데이터가 창의적 탐구의 재료로서 가지는 폭넓고 깊은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궁극적으로 이 발표는 디자인 교육자가 다음 세대의 디자이너들이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만들 수 있도록 지식과 기술을 갖추게 하는 미래를 제안합니다.

12:20

Lunch Break

점심 시간

13:30
School of Commons
스쿨 오브 커먼스

Facilitating Collaboration, Peer Learning, and Commoning Practices within the School of Commons

This talk introduces the guiding principles of School of Commons (SoC) — a global community-based initiative dedicated to exploring and supporting collective and self-organised learning and knowledge production. Key concepts introduced will include: Peer Learning, Commoning, Curiosity-driven and Process-oriented Learning, Transdisciplinarity, and Accessible Learning Spaces.

We will share our approaches to (re)designing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fields of learning and study, reflecting on the challenges encountered in facilitating heterogenous, collaborative practices, and present examples of projects supported by SoC that embody these principles at their core. We will bridge this with the methods of forms in which we make our knowledge, practices, and ways & workings publicly accessible and distributable, fostering openness and shared ownership within and beyond the SoC community.

협업, 동료학습, 커머닝 실천을 촉진하기

이 발표는 집단적이고 자기조직적인 학습과 지식 생산을 탐구하고 지원하는 글로벌 커뮤니티 기반 이니셔티브인 스쿨 오브 커먼즈(SoC)의 핵심 원칙을 소개합니다. 주요 개념으로는 동료학습(Peer Learning), 커머닝(Commoning), 호기심 기반·과정 중심 학습, 초학제성(Transdisciplinarity), 접근 가능한 학습 공간 등이 포함됩니다.

우리는 학습 환경과 학습·연구의 장을 (재)구성하는 접근 방식, 그리고 이질적이고 협업적인 실천을 촉진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도전에 대해 공유할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원칙을 중심에 두고 SoC가 지원한 프로젝트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더불어 우리가 지식·실천·방법을 대중에게 접근 가능하고 공유 가능한 형태로 만들기 위한 방식들을 연결하여, SoC 커뮤니티 안팎에서 개방성과 공동 소유를 확장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14:30
Andrea Steves
안드레아 스티브스

After Capitalism: The Museum as Political Imagination

The US Museum of Capitalism presents capitalism as a historical system viewed from an imagined post-capitalist future. Collectively developed and operating across US cities since 2015, we use museum exhibition design to "defamiliarize" familiar systems—displaying artifacts of housing, labor, and environmental injustice in past tense—opening space for imagining alternatives. This presentation shares our approach to design and performance as political imagination, and the museum as a mode of understanding how capitalism manifests differently across cultures. We offer this as one localized practice within broader global conversations about economic justice and futures education. The work connects to my current doctoral research on how artists build alternative economic infrastructures and perform new institutions into being through collective practice.

자본주의 이후: 정치적 상상력으로서의 미술관

미국의 ‘자본주의 박물관(Museum of Capitalism)’은 가상의 포스트 자본주의 미래의 시점에서 자본주의를 하나의 역사적 체제로 바라봅니다. 2015년부터 여러 미국 도시에서 공동으로 개발되고 운영되어 온 이 박물관은 전시 디자인을 통해 익숙한 시스템을 ‘낯설게’ 만듭니다. 주거, 노동, 환경 불평등의 유물을 과거형으로 전시함으로써, 다른 가능성을 상상할 수 있는 공간을 엽니다.

이 발표는 정치적 상상력으로서의 디자인과 퍼포먼스, 그리고 자본주의가 문화마다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이해하는 방식으로서 미술관의 역할을 공유합니다. 또한 경제 정의와 미래 교육에 대한 더 넓은 세계적 논의 속에서 하나의 지역적 실천 사례를 제안합니다. 이 작업은 예술가들이 집단적 실천을 통해 어떻게 대안적 경제 인프라를 구축하고 새로운 제도를 ‘실행함으로써 만들어내는지’에 관한 현재의 박사 연구와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15:30
Chan Shin Park
박찬신

12+1 PaTI

PaTI (Paju Typography Institute) is an independent design education institution founded in 2013. Having completed a 12-year cycle and just begun a new one, its members are calling this transition period “PaTI 2.0” as they explore new directions for change. In this year’s IDCC, we revisit PaTI’s key courses and achievements and examine what PaTI’s core keywords—such as “self-ness,” “working school,” “guiding companion teachers,” and “thinking hands”—aim to signify at this moment. What new aspirations does this educational community hold as it continues to establish and practice its own survival strategies within limited resources—and might these be relevant to the agents of “Design Education Futures”?

12+1 파티

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 파티는 2013년 세워진 독립 디자인 교육기관이다. 12년의 한 주기를 마치고 막 새로운 주기를 시작한 지금, 구성원들은 이 전환기를 ‘PaTI 2.0’이라 명명하며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번 IDCC에서는 파티의 주요 수업과 성과를 돌아보고, ‘자기다움’, ‘일하는 학교’, ‘길동무 스승’, ‘생각하는 손’ 등 파티의 키워드가 지금 이 시점에는 어떤 지향점을 갖는지 살펴본다. 한정된 자원 속에서 스스로 생존 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해온 이 교육 공동체의 새로운 추구미는 무엇이며, 그것은 ‘Design Education Futures’의 주체들에게 상관있어 보이는 일일까.

16:30
E Roon Kang
강이룬

Designers Adrift in the System

The tools we use for design are never neutral; they embody the structures, cultures, desires, and constraints of the systems that produce them. Working with these tools, while imagining new ones, is central to what designers do. Reflec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its instruments exposes both the possibilities and the limits of design today, and becomes a question of agency in itself.

As nearly every designer relies on tools made by companies worth hundreds of billions of dollars and contributes to visual culture through platforms valued in the trillions, who decides where those possibilities begin, and where those limits are drawn? And as AI companies deploy investments on an even greater scale, what kind of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se systems remains possible for an individual designer?

시스템을 표류하는 디자이너의 일과 도구

디자이너가 매일 사용하는 도구는 그것을 만들어낸 조직의 구조와 문화, 욕망, 그리고 구체적인 시대적·사업적 제약을 고스란히 품고 있다. 이러한 도구를 다루면서 동시에 새로운 도구를 상상하는 것은 디자이너의 일의 본질에 닿아 있다. 디자인과 도구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비평하고 탐구하는 일은 오늘날 디자인의 가능성과 한계를 분명히 함과 동시에 주체성에 대한 질문이 된다.

세상의 모든 디자이너가 시가총액 수백조 원 규모의 기업이 만든 도구를 사용하고, 수천조 원의 가치를 지닌 플랫폼을 통해 시각문화를 형성할 때, 우리가 만드는 디자인의 가능성과 한계는 누구에 의해서 주어진 것일까? 그리고 그보다 훨씬 더 큰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려는 AI 기술 기업들 앞에서, 평범한 한 명의 디자이너는 이 시스템들과 어떤 의미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을까?

Day Two

Saturday, Nov 8

10:10
Kenya Hara
하라 켄야

How to Perceive the World Anew

I will introduce the content I have been developing with graduating students in a seminar format since I began teaching at Musashino Art University in 2003—approximately 20 years ago.

The projects are part of two series titled “Ex-formation” and “Visualize & Awaken.” What they share in common is an ongoing exploration with students on how to rediscover and freshly perceive the things and phenomena around us.

Rather than focusing on creating forms that surprise the eye, we reexamine the essence of crea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o remove the “scales” that cloud our vision.

세상을 새롭게 인식하는 방법

저는 2003년 무사시노 미술대학에서 강의를 시작한 이후 약 20년 동안 졸업반 학생들과 세미나 형식으로 함께 발전시켜 온 내용을 소개하려 합니다.

이 프로젝트들은 “Ex-formation”과 “Visualize & Awaken”이라는 두 시리즈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통적으로 우리 주변의 사물과 현상을 어떻게 재발견하고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지 학생들과 지속적으로 탐구해 온 작업들입니다.

눈을 놀라게 하는 형태를 만드는 데 집중하는 대신, 우리의 시야를 흐리게 만드는 ‘비늘’을 어떻게 벗겨낼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창의성의 본질을 다시 살펴봅니다.

11:30
Matthieu Becker
마튜 베커

What You Teach Is What You Learn (WYTIWYL)

Reflections on how design, teaching, and publishing are all acts of learning — how each project, each student, and each collaboration teaches us something new.

당신이 가르치는 것이 곧 당신이 배우는 것 (WYTIWYL)

디자인, 교육, 출판이 모두 학습의 행위라는 점 — 그리고 각 프로젝트, 각 학생, 각 협업이 우리에게 새로운 것을 가르쳐 준다는 점에 대한 성찰입니다.

12:30

Lunch Break

점심 시간

13:30
Hyojung Seo
서효정

A Prototype for the Future of Design Education: Teaching Creative Computation to All First-Year Majors

This lecture introduces “Creative Computation,” a foundational course for all first-year design students, which explores how visual coding environments can expand design thinking. In this course, code is approached not merely as a technical tool, but as a language for exploring relationships, rules, and systems of behavior. Through short, visually driven projects, students experiment intuitively with code and interfaces, discovering how simple rules and variables generate unpredictable visual outcomes. By observing and iterating through these results, students begin to understand their own cognitive structures visually and conceptually. Ultimately, the course lowers the barrier to programming and proposes a new form of design literacy—one that fosters creative inquiry through computational experimentation.

디자인 교육의 미래를 상상하며: 모든 전공 1학년을 위한 크리에이티브 컴퓨테이션

이 강연은 모든 디자인 전공의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 Creative Computation을 중심으로, 비주얼 코딩 환경을 활용해 디자인 사고를 확장하는 학습 방식을 소개합니다. 이 수업에서는 코드를 기술이 아니라 관계와 규칙, 행동의 시스템을 탐구하는 언어로 다루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생들이 손쉽게 실험할 수 있는 짧은 프로젝트들을 진행합니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예측 불가능한 시각 결과를 관찰하며 규칙과 변수의 관계를 스스로 발견하고, 반복적인 실험 속에서 자신의 사고 구조를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경험을 쌓습니다. 결과적으로 이 수업은 프로그래밍의 장벽을 낮추고, 창의적 탐구를 위한 새로운 디자인 리터러시를 제안합니다.

14:30
Min Guhong
민구홍

New Order: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When you come to like and eventually fall in love with something, you naturally want to share that beautiful feeling with others.” New Order, a “liberal arts course for contemporary humans,” is an educational platform founded and run by Min Guhong since 2016, through which he has met more than 500 friends so far. In New Order, coding is approached as a form of “practical yet conceptual writing,” expanding one’s love toward oneself through the web, while also learning how to learn. In this talk, Min Guhong reflects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New Order as a plug-in for both education and everyday life, exploring how coding, writing, and learning intertwine to form a practice of self-introduction.

https://neworder.xyz
https://wiki.neworder.xyz

새로운 질서의 어제와 오늘과 내일과

“어떤 대상을 좋아하고 급기야 사랑에 빠지게 되면 그 아름다운 마음을 주위와 나누고 싶게 마련이다.” ‘현대인을 위한 교양 강좌’를 표방하는 「새로운 질서」는 민구홍이 2016년부터 운영해온 교육 플랫폼으로, 지금까지 500여 명의 친구와 만났다. 「새로운 질서」에서는 ‘실용적인 동시에 개념적인 글쓰기’의 관점으로 코딩을 바라보며 웹을 통에 자신을 향한 사랑을 확장하는 한편, 무엇보다 ‘배우는 방법’을 배운다. 이번 강연에서 민구홍은 학교, 나아가 생활을 위한 플러그인으로 작동해온 「새로운 질서」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에 관해 이야기한다.

https://neworder.xyz
https://wiki.neworder.xyz

15:30
Taeyoon Choi
최태윤

Uncomputablilty and incompleteness

I’ll share my story of migration and growing as an artist and educator, how personal experiences shaped my art and how I’ve built communities and projects along the way. I’ll share selections from past work alongside new projects that explore themes of mobility, the body, labor, and technology, centering on the concepts of uncomputability and incompleteness, which at times give rise to paradox. Rather than viewing these conditions solely as forms of failure or breakdown, I propose we recognize them as inherent features of reality itself and embrace them as fertile spaces for creative and critical practice.

연산할 수 없음과 불완전성

이 발표에서는 제가 예술가이자 교육자로 성장해 온 이야기, 그리고 이주와 같은 개인적인 경험들이 제 작업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나누고자 합니다. 그 과정에서 어떻게 공동체를 만들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함께해 왔는지도 이야기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이동성, 신체, 노동, 기술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들도 소개하려 합니다. 이 발표를 통해 저는 연산할 수 없음(uncomputability)과 불완전성(incompleteness) 같은 개념들이 때때로 모순(paradox)으로 이어지기도 한다는 점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이러한 조건들을 단순한 실패나 한계로 보기보다는, 현실의 본질적인 일부로 받아들이고, 오히려 새로운 창작과 비판적 사고를 위한 가능성으로 삼아보자는 제안을 드리고자 합니다.

16:30
INNOEDU Forum
INNOEDU 포럼

INNOEDU Forum is part of the ongoing curriculum reform research project at the Department of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forum serves as an academic platform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to explore new directions for its evolution amid rapidly changing social and technological contexts. It aims to foster discussion on curriculum development, educational systems, and global trends to envision the future of design education.

Featuring Seungmin Kim (Hanbat, KR), KwanMyung Kim (UNIST, KR), Byunghak Ahn (Hongik University, KR), Jiwon Lee (Kookmin University, KR), and Kyuha Shi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KR), hosted by Jangsub Lee (SNU, KR)

INNOEDU Forum은 서울대학교 디자인학과에서 진행 중인 전공 개편 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 디자인 교육의 현재를 진단하고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미래 디자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학술 토론의 장입니다. 본 포럼은 교육제도, 커리큘럼, 기술 변화, 그리고 글로벌 교육 트렌드를 아우르며 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비전을 함께 논의합니다.

김승민 교수 (한밭대학교, KR), 김관명 (UNIST, KR), 안병학 (홍익대학교, KR), 이지원 (국민대학교, KR), 심규하 (한국예술종합학교, KR) 함께하는 INNOEDU 포럼 (사회: 이장섭 (SNU, KR))

Speaker Bios

Andrea Steves
안드레아 스티브스

Andrea Steves is an artist, researcher, curator, and organizer currently based between Vienna, Austria and New York, USA. Her work explores the intersections of capitalism, climate change, ecology, and museums. She is currently a doctoral student in artistic practice at Nuova Accademia di Belle Arti - Milan and HDK-Valand at University of Gothenburg.

안드레아 스티브스는 예술가이자 연구자, 큐레이터, 그리고 기획자로서 현재 오스트리아 빈과 미국 뉴욕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다. 그녀의 작업은 자본주의, 기후 변화, 생태, 미술관의 교차 지점을 탐구한다. 현재 밀라노 누오바 아카데미아 디 벨레 아르티와 예테보리 대학교 HDK-발란드에서 예술 실천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Chan Shin Park
박찬신

Chan Shin Park is a Graphic designer motivated by an interest in typography and visual design. He completed his studies in both Korea and the United Kingdom. He has carried out various functions expected of designers across a range of projects, grounded in visual language. Recently, he has been responding to work that arises from close relationships, and in doing so, experiencing changes in his own role. He is currently the Principal of PaTI (Paju Typography Institute), where he designs PaTI’s structure and educational system, and jointly leads the Type Media Center and deobaegot.

그래픽 디자이너. 타이포그래피와 시각디자인에 대한 관심으로 한국과 영국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했다. 시각언어를 바탕으로 한 디자이너에게 기대되는 여러 기능을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수행해왔다. 최근에는 긴밀한 관계에서 비롯된 일에 반응하며, 그에 따라 자신의 역할에도 변화를 겪고 있다. 현재 파주타이포그래피배곳(PaTI)의 교장으로 재직 중이며, PaTI의 구조와 교육 체계를 설계하고, 타입미디어센터 및 더배곳을 공동으로 이끌고 있다.

Chris Mitchell
크리스 미첼

Chris has a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new academic frameworks, programmes and pedagogies at the College. This includes leading the MEd in Creative Education. He previously worked at the College as Head of Academic Development and Learning and Teaching Coordinator. Before that, he was Manager of the Economics Subject Centre of the Higher Education Academy.

Chris has an EdD from the UCL Institute of Education and an MA in Online and Distance Education from the Open University. He is also a Principal Fellow of the Higher Education Academy, and a Fellow of the Staff Educ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SEDA).

크리스 미첼은 대학에서 새로운 학문적 프레임워크, 프로그램, 교수법을 개발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창의교육 MEd 과정을 이끌고 있다. 이전에는 학술개발 책임자 및 교육·학습 코디네이터로 근무했고, 그 전에는 영국 고등교육원 경제학 주제센터의 매니저였다.

UCL 교육연구소에서 교육학 박사(EdD)를, 오픈대학교에서 온라인·원격교육 석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영국 고등교육원의 Principal Fellow이자 SEDA의 Fellow이다.

E Roon Kang
강이룬

Design educator and creative director with a background in building programs and studios that explore the evolving role of design in technological contexts.

He served as Chair of Graphic Design at California College of the Arts, and as Director of the BFA Communication Design program at Parsons School of Design. He previously led Math Practice, an award-winning design studio that collaborated with partners including Google, MIT Architecture, and UCLA AUD, and co-founded 908A, a research collective developing alternative design tools in collaboration with institutions such as the Getty Research Institute and the Smithsonian. He is a TED Senior Fellow and a former research fellow at MIT’s Senseable City Lab, and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at KAIST, launching Visual Instruments Lab (@visual.instruments.lab).

디자이너이자 교육자로서, 교육 프로그램과 디자인 스튜디오를 만들고 운영하며 기술 환경에서 디자인의 역할 변화를 탐구해 왔다. 미국 캘리포니아예술대학과 뉴욕 파슨스디자인스쿨에서 그래픽디자인 및 커뮤니케이션디자인 학과장을 지냈고, TED 시니어 펠로우로 선정되었으며, MIT 센서블시티연구소에서 특별연구원으로 활동했다. 뉴욕, 샌프란시스코, 호놀룰루에서 디자인 스튜디오 매스프랙티스와 리서치 콜렉티브 908A를 운영하며 게티연구재단, 스미소니언 등 주요 문화·예술 기관과 Google, MIT 건축대학, UCLA 건축대학 등 다양한 기술·교육 기관과 협업했다. 최근 KAIST로 부임하여 시각도구연구실(@visual.instruments.lab)을 꾸렸다.

Eugene Park
유진 박

Associate Professor, Graphic Design
Graphic Design Program Director

Professor Eugene Park has been on the UMN graphic design faculty since 2013. His scholarship is primarily dedicated to understanding better how data visualization can serve as an extension of graphic design practice as a creative form of inquiry that can be accessible to those outside of science and academia. In his classes, Eugene challenges his students to think of graphic design beyond industry trends and encourages form-driven experimentations and tinkering of code. Eugene’s creative work has been exhibited through AIGA Minnesota and the Weisman Art Museum and have gained recognition in Print Magazine, HOW Design and STA Chicago.

유진 박 교수는 2013년부터 UMN 그래픽디자인 전임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연구는 데이터 시각화가 그래픽 디자인 실천을 확장하는 창의적 탐구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중점을 둔다. 수업에서 그는 학생들이 산업 트렌드를 넘어 디자인을 사고하도록 도전하며, 형태 중심의 실험과 코딩 연구를 장려한다. 그의 작품은 AIGA Minnesota와 와이즈먼 미술관 등에서 전시되었으며, Print Magazine, HOW Design, STA Chicago에서 주목받았다.

https://ebpark.github.io/portfolio/

Hyojung Seo
서효정

Hyojung Seo is a generative artist who visualizes everyday patterns and the rhythms of cities through algorithms. Inspired by mathematical principles and natural structures, she develops a visual language driven by code. Viewing the screen not merely as a medium of moving images but as an expanded architectural device that interacts with urban environments, she experiments with the possibilities of fluid, dynamic architecture. Focusing on interactive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s, Seo began her daily coding project ‹LOoP LoOP: Every Day is a Code› during the pandemic, expanding the scope of her artistic practice. Her works have since been presented in numerous cities around the world—including Incheon, Seoul, Tokyo, Paris, Vancouver, Hangzhou, Cincinnati, Prague, Bilbao, and Barcelona—and at international platforms such as IDAF, SIGNAL, BLINK, the Gwangju Biennale, DEMO, D:Art, the Asia Triennale, the Kobe Biennale, and SIGGRAPH.

서효정은 알고리즘을 활용해 일상의 패턴과 도시의 리듬을 시각화하는 제너러티브 아티스트다. 수학적 원리와 자연의 구조에서 영감을 받아 코드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시각 언어를 개발한다. 스크린을 단순한 영상 매체가 아닌 도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확장된 건축적 장치로 인식하며 유동적인 도시 건축의 가능성을 실험한다. 인터랙티브 설치와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작업해온 작가는 팬데믹 시기 데일리 코딩 프로젝트 ‹LOoP LoOP: Every day is a Code›를 시작하며 활동을 확장했고 그 결과를 인천, 서울, 도쿄, 파리, 밴쿠버, 항저우, 신시내티, 프라하, 빌바오, 바르셀로나 등 세계 여러 도시와 IDAF, SIGNAL, BLINK, 광주비엔날레, DEMO, D:Art, 아시아 트리엔날레, 고베 비엔날레, SIGGRAPH 등 국제 무대에서 작품을 선보였다.

Kenya Hara
하라 켄야

Born in 1958, Kenya Hara is a designer, the president and CEO of Nippon Design Center, and a professor at Musashino Art University. Hara has organized numerous exhibitions in Japan and elsewhere that have reexamined and reconstructed existing value systems. Among these are RE-DESIGN: Daily Products of the 21st Century, which went on tour; HAPTIC: Awakening the Senses; JAPAN CAR: Designs for the Crowded Globe; and HOUSE VISION 1-4.

Hara has implemented design that is deeply rooted in Japanese culture in a wide variety of projects such as the Nagano Olympics’ opening and closing ceremony programs and EXPO 2005. He has served as art director for MUJI since 2002, and has worked in a wide variety of fields. His projects include Matsuya Ginza, Mori Building, Tsutaya Books, Ginza Six, Mikimoto, Yamato Transport, and visual identity for the Chinese electronics company Xiaomi.

In 2008 and 2009, a large-scale solo exhibition of Kenya Hara’s work was held in Beijing and Shanghai. In 2016, at the Milano Triennale, an exhibition titled NEO-PREHISTORY: 100 Verbs, on which Hara and Andrea Branzi collaborated, represented human history in terms of the coevolution of tools and desires. For the project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known as JAPAN HOUSE, a cultural institution with locations in Sao Paulo, London, and Los Angeles, Hara served as a comprehensive producer, pouring his energy into the task of representing Japanese culture as a resource for the future. In 2019, Hara launched a website for the High Resolution Tour project, introducing various locations in Japan from a unique perspective, and pioneering a new approach to the tourism industry.

Kenya Hara has written many books, including Design of Design (Iwanami Shoten, 2003), DESIGNING DESIGN (Lars Müller Publishers, 2007 / Iwanami Shoten, 2007), White (Chuokoron-Shinsha, 2008 / Lars Müller Publishers, 2012), Designing Japan (Iwanami Shoten, 2011 / Lars Müller Publishers, 2019), 100 Whites (Chuokoron-Shinsha, 2018 / Lars Müller Publishers, 2019), and High Resolution Tour (Iwanami Shoten, 2022).

1958년생인 하라 켄야는 디자이너이자 일본디자인센터(Nippon Design Center)의 대표이사이며, 무사시노 미술대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일본 안팎에서 수많은 전시를 기획하며 기존의 가치체계를 재검토하고 재구성하는 작업을 이어왔다. 대표적인 전시로는 순회전을 진행한 「RE-DESIGN: 21세기의 일용품」, 「HAPTIC: 감각의 각성」, 「JAPAN CAR: 혼잡한 지구를 위한 디자인」, 그리고 「HOUSE VISION 1–4」 등이 있다.

하라 켄야는 나가노 올림픽 개·폐회식 프로그램, 2005년 일본 국제박람회(EXPO 2005) 등 일본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디자인을 구현해왔다. 2002년부터 무지(MUJI)의 아트디렉터를 맡고 있으며,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동해왔다. 그의 주요 작업에는 마쓰야 긴자, 모리 빌딩, 츠타야 서점, 긴자 식스, 미키모토, 야마토 운수, 그리고 중국 전자기업 샤오미(Xiaomi)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등이 포함된다.

2008년과 2009년에는 베이징과 상하이에서 하라 켄야의 대규모 개인전이 개최되었다. 2016년 밀라노 트리엔날레에서는 안드레아 브란치와 협업한 「NEO-PREHISTORY: 100 Verbs」 전시를 통해 도구와 욕망의 공진화를 축으로 인류 역사를 새롭게 제시했다. 또한 일본 외무성이 주도한 국제 문화 프로젝트 ‘재팬 하우스(JAPAN HOUSE)’에서 총괄 프로듀서를 맡아, 일본 문화를 미래를 위한 자원으로 소개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2019년에는 ‘High Resolution Tour’ 프로젝트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일본 곳곳을 독창적 관점으로 소개하며 관광 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하라 켄야는 『디자인의 디자인』(이와나미 쇼텐, 2003), 『DESIGNING DESIGN』(라스 뮐러 퍼블리셔스, 2007 / 이와나미 쇼텐, 2007), 『화이트』(주오코론신샤, 2008 / 라스 뮐러 퍼블리셔스, 2012), 『디자이닝 재팬』(이와나미 쇼텐, 2011 / 라스 뮐러 퍼블리셔스, 2019), 『100 Whites』(주오코론신샤, 2018 / 라스 뮐러 퍼블리셔스, 2019), 『High Resolution Tour』(이와나미 쇼텐, 2022) 등 다수의 저서를 집필했다.

read more

Matthieu Becker
마튜 베커

Matthieu Becker is an independent French graphic designer specializing in editorial design and print production. A graduate of the École de Recherche Graphique (ERG) in Brussels, he co-founded LeMégot Editions and has been teaching editorial design at Gobelins, l’école de l’image in Paris since 2019. His work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nd reader, positioning design as a thoughtful intermediary between the two. Collaborating with artists, publishers, and cultural institutions, Becker creates books, printed objects, and exhibition materials that reflect a refined attention to materiality and narrative.

마튜 베커는 프랑스의 독립 그래픽 디자이너로, 편집 디자인과 인쇄 제작을 전문으로 한다. 브뤼셀의 École de Recherche Graphique(ERG)를 졸업했으며, LeMégot Editions를 공동 설립했다. 2019년부터 파리의 Gobelins, l’école de l’image에서 편집 디자인을 가르치고 있다. 그의 작업은 콘텐츠와 독자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며, 디자인을 그 둘 사이의 사려 깊은 매개로 위치시킨다. 여러 예술가, 출판사, 문화 기관과 협업하며 재료성과 내러티브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반영한 책과 인쇄물, 전시물을 제작한다.

https://matthieubecker.com/

Min Guhong
민구홍

Min Guhong studied literature and linguistics at Chung-Ang University and poetic computation at the School for Poetic Computation (SFPC) in New York. He has worked at Ahn Graphics and Workroom as an editor, designer, and programmer. Since 2015, he has operated Min Guhong Manufacturing, a “parasitic one-person company,” and since 2016, has run New Order, an educational program where he discusses coding as a form of “conceptual and practical writing.” His own books include New Order, A Dictionary of Structure, and “Stealing is good.”; his translations include David Reinfurt’s A *New* Program for Graphic Design and Bob Gill’s Forget all the rules you ever learned about graphic design. Including the ones in this book.. As of 2025, he is the director of Ahn Graphics Lab (AG Lab), where he creates ‘hyperlinks.’

중앙대학교에서 문학과 언어학을, 미국 시적 연산 학교(School for Poetic Computation, SFPC)에서 시적 연산을 공부했다. 안그라픽스와 워크룸에서 편집자,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등으로 일했다. 2015년부터 1인 기생 회사 민구홍 매뉴팩처링을 운영하는 한편, 2016년부터 ‘현대인을 위한 교양 강좌’를 표방하는 「새로운 질서」에서 ‘실용적인 동시에 개념적인 글쓰기’의 관점으로 코딩을 이야기한다. 지은 책으로 『새로운 질서』를 비롯해 『구조 사전: 예순네 가지 구조의 구조』, 『”도둑질은 좋다.”』 등이, 옮긴 책으로 『*새로운* 그래픽 디자인 프로그램』, 『이제껏 배운 그래픽 디자인 규칙은 다 잊어라. 이 책에 실린 것까지.』 등이 있다. 2025년 현재 안그라픽스 랩(약칭 및 통칭 ‘AG 랩’) 디렉터로 일하며 ‘하이퍼링크’를 만든다.

https://minguhong.fyi

Taeyoon Choi
최태윤

Taeyoon Choi is an artist and educator, who often collaborates with fellow artists, designers, engineers and community members. His practice involves visual art, research, pedagogy, technology and participatory performance. His works were presented at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New Museum, LACMA and he had fellowships at Eyebeam Art and Technology Center, Data and Society among others. In 2013, he co-founded the School for Poetic Computation where he worked as a teacher and organizer for seven years. In 2023, he founded forever☆ gallery, an independent gallery based in Seoul which continues community programs and exhibitions. Currently, he’s an assistant professor at Wayne State University in Detroit, and serves on the strategic board of AFIELD, an international network of cultural changemakers.

최태윤은 현대미술작가이자 교육자로, 여러 예술가, 디자이너, 커뮤니티 구성원들과의 협업을 이어갑니다. 그의 작업은 시각예술, 리서치, 교육, 기술, 참여형 퍼포먼스를 아우르며 미국 뉴욕의 휘트니 미술관, 뉴뮤지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등에서 소개되었습니다. 2013년에는 뉴욕 시적연산학교를 공동 설립해 교육자이자 기획자로 활동했으며, 2023년에는 서울에 기반을 둔 독립 예술 공간인 포에버☆ 갤러리를 설립하여 커뮤니티 프로그램과 전시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는 디트로이트의 웨인 주립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예술가들의 사회변화를 후원하는 비영리단체 AFIELD의 전략 이사회에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School of Commons
스쿨 오브 커먼즈

School of Commons (SoC) is a global community-based initiative dedicated to peer learning, and the study and development of self-organized knowledge production—through commons-based methods and practices. Hosted at the Zürich University of the Arts (ZHdK), but the program takes place mostly online.

스쿨 오브 커먼즈(SoC)는 동료학습과 공동체 기반 방식을 통해 자기 조직적 지식 생산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글로벌 커뮤니티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취리히 예술대학(ZHdK)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대부분 온라인을 통해 운영된다.

INNOEDU Forum
INNOEDU 포럼

INNOEDU Forum is part of the ongoing curriculum reform research project at the Department of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forum serves as an academic platform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to explore new directions for its evolution amid rapidly changing social and technological contexts. It aims to foster discussion on curriculum development, educational systems, and global trends to envision the future of design education.

INNOEDU Forum은 서울대학교 디자인학과에서 진행 중인 전공 개편 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 디자인 교육의 현재를 진단하고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미래 디자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학술 토론의 장입니다. 본 포럼은 교육제도, 커리큘럼, 기술 변화, 그리고 글로벌 교육 트렌드를 아우르며 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비전을 함께 논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