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unstable politic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landscape are leading to significant and rapid changes in the design field. In this context, the traditional categories of design: industrial, visual, interactive, and spatial, are becoming blurred and intermingled. Furthermore, the notion that design is strictly a service where designers perform tasks only at the order of clients continues to unravel. Given these circumstances the need for imagination and speculation becomes paramount. By envisioning alternative roles for design, and alternative contexts in which design can exist, designers, craftspeople, artists, and educators can adapt and set the path for the next generation. Helping to find solutions for the many challenges that are emerging – such as the climate crisis, labor issues, and post-colonial building, amongst many others – and offering new ways of organizing ourselves in uncertain times.

For this year’s International Design Culture Conference, we will focus on the ideas of speculation, world-building, and alternative realities as design tactics and frameworks. This will be explored from a number of perspectives including virtual space, relationships with non-human entities, alternative political structures, issues of gender and new economic frameworks.

Contact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Department of Design, Office

HostDepartment of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OrganizationBK21 Education Research Group for Cultivating Design Leaders with Social Senstiv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Visual Art Institute

There is no fee to participate. Coffee will be provided in the afternoon, and lunch will be provided on Saturday Oct. 28th. Foreign speakers talks will be delivered in English, with translation provided for question and answer session.

불안정한 정치, 경제, 기술 환경은 디자인 분야에 중대하고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산업, 시각, 인터랙티브, 공간 등 전통적인 디자인 범주가 흐려지고 뒤섞이고 있다. 더욱이 디자인은 디자이너가 클라이언트의 명령에 따라서만 작업을 수행하는 서비스라는 개념이 계속해서 해체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상과 추측의 필요성은 무엇보다 중요해진다. 디자인의 대안적인 역할과 디자인이 존재할 수 있는 대안적인 맥락을 구상함으로써 디자이너. 공예가. 예술가. 교육자는 다음 세대를 위한 길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기후 위기, 노동 문제, 탈식민지 건설 등 새롭게 떠오르는 많은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데 도움을 주고 불확실한 시대에 우리 스스로를 조직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올해 국제 디자인 문화 컨퍼런스에서 우리는 디자인 전술과 프레임워크로서 사변, 세계 구축, 대안 현실에 대한 아이디어에 중점을 둔다. 이를 가상 공간, 비인간 실체와의 관계. 대안적 정치 구조. 젠더 문제 및 새로운 경제 체제를 포함한 다양한 관점에서 탐구한다

문의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사무실

주최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주관BK21 사회적 감수성을 실천하는 디자인 리더 양성 사업단
조형연구소

참가비는 무료입니다. 오후에는 커피가 제공되며, 10월 28일 토요일에는 점심 식사가 제공됩니다. 외국인 연사의 강연은 영어로 진행되며, 질의응답은 통역이 제공됩니다.

SPEAKERS

åbäke

åbäke

아바케

WMDYWTL? (Which mirror do you want to lick?)

CZ/FR/B/AUS/JPN

Bryan Ma

Bryan Ma

브라이언 마

The New School/Parsons School of Design

USA/JPN

Chris Lee

Chris Lee

크리스 리 (이정민)

Pratt Institute

USA/CAN

David Clarke

David Clarke

데이빗 클락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München/Alchimia Florence

UK

Gyomyung Shin

Gyomyung Shin

신교명

Seoul National University

KR

Kristian Henson

Kristian Henson

크리스티안 헨슨

USA/PH

Kwangho Lee

Kwangho Lee

이광호

KLS (Kwangho Lee Studio)

KR

Silvia Weidenbach

Silvia Weidenbach

실비아 바이덴바흐

Glasgow School of Art

DE/UK

Sungchul Yang

Sungchul Yang

양성철

PHOENIX Design

KR/DE

Tereza Ruller

Tereza Ruller

테레자 룰러

The Rodina

NL

Yo-E Ryou

Yo-E Ryou

요이

Unlearning Space

KR

DAY 1

27th oct. Friday 10am –  6pm

  • 10:00 Eui Chul Jung
    정의철
    Greetings
    인사말
  • 10:10 Bryan Ma
    브라이언 마
    Dynamic systems, invisible infrastructure
    다이내믹 시스템, 보이지 않는 인프라
  • 11:00 David Clarke
    데이빗 클락
    Right Here - Right Now.
    지금 여기 - 지금 바로.
  • 12:00 Lunch*
  • 13:30 Chris Lee
    크리스 리 (이정민)
    Typographic Design as Visual Historiography, Racial Formation, and World Making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시각적 역사학, 인종 형성, 세계 제작
  • 14:30 Silvia Weidenbach
    실비아 바이덴바흐
    Treasures for a New Age
    새로운 시대를 위한 보물
  • 15:30 Coffee Break Coffee and light snacks provided
  • 16:00 Kristian Henson
    크리스티안 헨슨
    Low Technologies
    로우 테크놀로지
  • 17:00 Tereza Ruller
    테레자 룰러
    Wicked Worlding 위키드 월딩
  • *Lunch will not be provided
    *점심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Note: Foreign speakers' lectures will be in English with translation provided for question and answer session.
    참고: 외국인 연사의 강연은 영어로 진행되며, 질의응답 세션에서는 통역이 제공됩니다.

TALKS

10:00

Bryan Ma
브라이언 마

Dynamic systems, invisible infrastructure
다이내믹 시스템, 보이지 않는 인프라

Discussing the domains of creative technology and experiential media through working in exhibit design/development, procedural aesthetics and emergent systems, and negotiating the increasingly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nd digital.

전시 디자인/개발, 절차적 미학, 새로운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창의적 기술과 체험적 미디어 영역에 대해 논의하고 더욱 복잡해지는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관계에 관해 토론한다.

11:00

David Clarke
데이빗 클락

Right Here - Right Now.
지금 여기 - 지금 바로

When can we agree that the world is full of “stuff” already?
What if we slow down, reflect and appreciate what we have already?
Misterclarke will deliver a thought provoking presentation that reveals a strong position of how we should not rush ahead. However, embrace the very space we inhabit now. Through the physical we can learn ever more about ourselves and others: personally, politically and culturally.

Objects that we surround ourselves with develop our individual identity. Though handling, using and triggering ALL the senses, objects stimulate the real world we are in right now, this very moment.

Let us truly treasure what we have, through the wonder of dreaming, imagination and storytelling.

세상은 이미 ‘물건’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것에 우리는 언제쯤 동의할 수 있을까?
속도를 늦추고 성찰하며 이미 가지고 있는 것에 감사하면 어떨까?
Misterclarke는 토크를 통해 우리가 더 이상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는 강력한 입장을 피력하며 질문하지만 동시에 우리가 살고 있는 바로 이 공간을 포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물리적 공간을 통해 개인적으로, 정치적으로, 문화적으로 우리는 자신과 타인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물은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사물을 다루는 행위는 우리의 모든 감각을 촉진하고 우리가 존재하는 이 현실 세계를 자극한다.

꿈과 상상력, 스토리텔링의 경이로움을 통해 우리가 가진 것을 진정으로 소중히 여기길 희망한다.

12:00

LUNCH

13:30

Chris Lee
크리스 이 (이정민)

Typographic Design as Visual Historiography, Racial Formation, and World Making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시각적 역사학, 인종 형성, 세계 제작

This talk maps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imensions of an on-going project called 1882–1982–2019 which entails the design of a “chop suey” typeface and specimen book. The project experiments with typography’s capacity for historical narration and myth-making. The typeface in question is not optimized for legibility, but is rather developed for unpacking critical questions surrou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design, craft, quality, value, and the construction of race. While most of these notions would not be out of place in discourses of typography, the latter term — race — is seldom given serious attention in the field.

This project is framed by a synthesis of scholarly work from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performance studies, whiteness studies, Asian-American studies, and the history of illustration. 1882–1982–2019 is rooted in an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persistence of the anti-Asian tropes as one constitutive element in the construction of normative, white-supremacist ideas around labor, craft, value, and national belonging. It explores how the language and attitudes of such tropes are resonant in typographic discourse, pedagogy, and practice, but also in popular culture, and even, legislation.

This project opens critical questions about the disciplinary aims of typographic history, implicates it in racial discourses, and challenges normative, ostensibly de-racialized, processes of valorization in the field. In other words, 1882–1982–2019 explores the question of how typography participates in creating objects, meanings, and stories that in turn equip the imagination with tools for making worlds.

본 강연은 ‘chop suey’ 서체와 견본책의 디자인을 수반하는 프로젝트 1882-1982-2019의 이론적, 방법론적 맥락을 묘사하고, 타이포그래피의 역사 구연과 신화 창조 능력을 실험한다. ‘Chop suey’ 서체는 가독성을 위해 최적화된 것이 아니라 노동, 디자인, 공예, 품질, 가치, 인종 구성의 관계를 둘러싼 중요한 질문을 풀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러한 논의는 타이포그래피 담론에 자연스럽게 등장할 수 있지만, 앞서 말한 ‘인종’이라는 주제가 진지하게 주목받는 경우는 드물다.

1882-1982-2019는 퍼포먼스 연구, 백인과 아시아계 미국인 관련 연구, 일러스트레이션 역사 등 다양한 분야의 학술적 연구를 종합적으로 구성한다. 이 프로젝트는 반아시아적 비유가 역사적으로 노동, 공예, 가치, 국가적 소속에 관한 규범적 백인 우월주의 사상을 구축하는 하나의 근본적인 요소로서 자리해 온 현상을 관찰한다. 또한 이러한 비유의 언어와 태도가 타이포그래피 담론, 교육, 연구뿐만 아니라 대중문화, 또는 법률에 반영되는 상황을 탐구한다.

본 프로젝트는 타이포그래피 역사의 학문적 목표에 대해 비판적 질문을 던지고, 이를 인종 담론에 함축하며, 표면적으로는 탈인종화된 규범적 가치에 이의를 제기한다. 즉, 1882-1982-2019는 타이포그래피가 사물, 의미, 이야기 창작 과정에 어떻게 참여하는지, 혹은 세계 제작을 위한 상상력 발휘에 어떠한 도움이 되는지 탐구한다.

14:30

Silvia Weidenbach
실비아 바이덴바흐

Treasures for a New Age
새로운 시대를 위한 보물

In a new era of digital and analogue hybridity what is a treasure in the context of decorative art and design?

Where does it exist and how can it be created ?

How does virtuosity look like in a digital age?

I will talk about my artistic practice and current projects where I designed jewellery in collaboration with AI.

새로운 시대를 위한 보물 –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혼성화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혼재하는 새로운 시대 속, 장식 예술과 디자인에서 보물이란 무엇인가? 보물은 어디에 존재하며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나? 디지털 시대에서 기교는 어떤 모습인가? 작가의 예술적 관행과 AI 협업 프로젝트에 대해 공유한다.

15:30

COFFEE

16:00

Kristian Henson
크리스티안 헨슨

Low Technologies
로우 테크놀로지

Works ongoing in the fields of Makeshift Publishing, Identity Design, Counter Mapping, Tropical Ecology and Surfing in The Philippines. Reframing our perspectives toward technological innovation in common urban and rural spaces such as those in Southeast Asia. With the advancement, proliferation and inevitable domin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tomation, as well as shifts in global climate, markets and logistics is the future of design development within lower technologies such as the printer, the camera, the vulcanization shop, the paintbrush or the surfboard?

필리핀의 임시 출판, 아이덴티티 디자인, 카운터 매핑, 열대 생태학 및 서핑 문화에 관한 작업을 공유한다. 동남아시아 등 보편적인 도시 및 농촌 공간에서 기술 혁신에 대한 관점을 재구성한다. 인공지능과 자동화의 발전, 확산, 지배, 그리고 세계 시장의 변화로 인해 프린터, 카메라, 페인트 브러시 또는 서핑 보드와 같은 하위 기술 내에서 디자인 개발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17:00

Tereza Ruller
테레자 룰러

Wicked Worlding
위키드 월딩

What are our roles, responsibilities, and capacities as situated world-makers? How can we design situations and environments that encourage activity and participation leading toward the transformation in a viewer or a social context? During this talk, Amsterdam-based designer Tereza Ruller (The Rodina) tries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introducing a range of methods and approaches –including performativity, embodiment, and processuality. These techniques allow designers to go beyond the traditional boundaries of graphic design and embrace inclusivity, challenge norms, resist power structures, and convey previously marginalized stories. Undoubtedly, Wicked Worlding positions communication design as a performative world-making practice!

세상을 만드는 사람으로서 디자이너의 역할, 책임, 역량은 무엇일까? 관객의 생각이나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며, 활동과 참여를 장려하는 환경을 어떻게 디자인할 수 있을까? 본 강연을 통해 테레자 룰러(The Rodina)는 수행성, 구현성, 절차성 등 다양한 방법과 접근 방식을 소개하며 답을 찾는다. 이러한 기법을 통해 디자이너는 그래픽 디자인의 전통적인 경계를 넘어 넓게 포용하고, 규범에 도전하고, 권력 구조에 저항하고, 소외된 이야기를 전달한다. ‘위키드 월딩’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퍼포먼스적 세상 만들기의 도구로 배치한다.

DAY 2

28th oct. Saturday  10am –  5pm

  • 10:00 Yo-E Ryou
    요이
    Why I Swim
    내가 헤엄치는 이유
  • 11:00 Gyomyung Shin
    신교명
    Human-AI Interaction in the Physical World
    물리적 세상 속 인간-인공지능 인터랙션
  • 12:00 Lunch Break Lunch will be provided
  • 13:30 Kwangho Lee
    이광호
    growth by repetition
    반복을 통한 성장
  • 14:30 Sungchul Yang
    양성철
    Tangible Dreams
    실현 가능한 꿈
  • 15:30 Coffee Break Coffee and light snacks provided
  • 16:00 åbäke
    아바케
    eoneu geoul-eul haltgo sipnayo?
    어느 거울을 핥고 싶나요?
  • Note: Foreign speakers' lectures will be in English with translation provided for Q+A
    참고: 외국인 연사의 강연은 영어로 진행되며, 질의응답 세션에서는 통역이 제공됩니다.

TALKS

10:00

Yo-E Ryou
요이

Why I Swim
내가 헤엄치는 이유

Through the lens of hydrofeminism, this talk will swim through a vast ocean of letters between women and water from Jeju Island, on the south shore of Korea.

In Jeju, there is a lineage of diving women—hanyeo. The cultural practices of Jeju haenyeo are roots of this matriarchal society as well as deep ecology. While Jeju is known as a volcanic island, tourist destination, as well as an island of painful history with many political turmoils, it is also known as an island full of women, who are as strong as the volcanic ground which they live on. Searching for untold stories behind the local archetype of the ‘strong Jeju woman’, what catches my eyes is the central creation myth of Jeju Island itself which involves a giant goddess called Grandmother Goddess Seolmundae. The fact that a single female deity is at the center of its central creation myth is highly unusual among the world’s mythologies. While it is mesmerizing to see haenyeos working, living, and having a visceral relationship with this more-than-human entity, bodies of water, it is bittersweet that they are threatened by capitalist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The haenyeo culture is designated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haenyeo museum and haenyeo schools are open to educate younger generations. However, regardless of these preservation efforts, it is inevitable that the time is soon coming for this unique community to gradually disappear.

We need an alternate net to hold bodies of water and women’s stories. These sea women and their countless matriarchal/more-than-human ancestors deserve to be heard, appreciated, honored, and celebrated—in a completely new, radical, playful, and contemporary way, for their spirits to continue living in our bodies.

이번 강연은 하이드로 페미니즘의 시선으로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여성과 물 사이의 광활한 글자의 바다를 헤엄친다.

제주 해녀의 문화적 관습은 깊은 생태학이면서도 모계 사회의 뿌리이다. 제주는 화산섬, 관광지, 그리고 아픈 역사의 섬으로 알려졌지만, 화산 지반만큼이나 강인한 여성들이 살고 있는 섬으로도 알려져 있다. '강인한 제주 여성'에 얽힌 숨겨진 이야기를 찾던 중 가장 눈에 들어온 것은 설문대할망이라는 거대한 여신이 등장하는 제주도 중심 창조 신화이다. 한 명의 여신이 창조 신화의 중심에 있다는 것은 세계 신화 중에서도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하지만 바다와 본능적인 관계를 맺으며 생활하는 해녀들의 모습이 자본주의 개발과 기후 변화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는 사실은 씁쓸하다. 해녀 문화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고, 해녀 박물관과 해녀 학교를 통해 후세 교육에 힘쓰지만 이러한 보존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독특한 공동체가 점차 사라져 간다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우리는 바다와 여성의 이야기를 담을 수 있는 또 다른 그물이 필요하다. 바다의 여성들과 그들의 수많은 모계/인간 이상의 조상들이 잊히지 않도록 그들의 이야기를 새롭고, 급진적이고, 유쾌하고, 현대적인 방식으로 듣고, 기리고, 기념할 필요가 있다.

11:00

Gyomyung Shin
신교명

Human-AI Interaction in the Physical World
물리적 세상 속 인간-인공지능 인터랙션

Through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of visual arts and engineering, Shin introduces examples of AI collaborations. He specifically explores AI that interacts with people in the real world, rather than AI that only operates within the digital sphere. He will also share the constraints and consequences of using AI in the material world, as well as application examples.

시각예술과 공학의 다학제적 관점에서 인공지능과의 협업 사례를 소개한다. 디지털 상에서만 무언가를 생성해내는 인공지능이 아닌 현실 세계에서의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인공지능을 탐구한다. 물질적인 세상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할 제약과 그로 인한 결과물, 그리고 활용 예시를 보여준다.

12:00

LUNCH

13:30

Kwangho Lee
이광호

growth by repetition
반복을 통한 성장

My work relies heavily on repetition. Small knots come together to form a large unit, and those units themselves are expressed in particular forms. I thought of my work and what lies beneath that act of repetition - that the process of compiling those knots itself, (ultimately the accumulation of time by small moments) may be the fundamental basis of my work.

나의 작업은 반복에 크게 의존한다. 작은 매듭이 모여 큰 단위를 형성하고, 그 단위 자체가 특정한 형태로 표현된다. 반복이라는 행위의 이면에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 보았을 때, 그 매듭을 엮어가는 과정 자체(궁극적으로, 작은 순간들이 쌓여가는 시간의 축적)가 나의 작업의 근본적인 토대가 된다고 생각한다.

14:30

Sungchul Yang
양성철

Tangible Dreams
실현 가능한 꿈

In a creative field, especially in the commercial area of industrial design, creating something new is a daily given mission. Companies have their vision, as consumers have their desires. Designers have their own dream too, but we more often need to be the one making other’s dream tangible.

How do we do? There are no right or wrong answers, but one of the methods is transforming unreal to real, twisting an existing to unseen. We will talk about how design makes our dreams tangible.

산업 디자인의 상업적 영역에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은 매일 주어지는 미션이다. 기업에는 비전이 있고 소비자에게는 욕구가 있듯이, 디자이너에게도 자신의 꿈이 있지만 대체로 다른 사람의 꿈을 실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어떻게 해야 할까? 정답은 없지만, 하나의 방법으로는 비현실을 현실로 바꾸고, 존재하는 것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비틀어 볼 수 있다. 디자인이 어떻게 우리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지 이야기한다.

15:30

COFFEE

16:00

åbäke
아바케

eoneu geoul-eul haltgo sipnayo?
어느 거울을 핥고 싶나요?

Which Mirror do you want to lick? Is the title of a travelling exhibition curated by Sofie Dederen, Radim Peško and åbäke since 2016. The project is ongoing exploration of alternative realities through objects, situations and artworks. It takes its own medium—the exhibition—as a pretext to create versions with co-curators, geography, local histories and contextual shifts (from design to art, schools to podcasts etc.). After Brno, Nice, Kasterlee, Amsterdam, Melbourne and Tokyo, the show takes place in Seoul and in the very auditorium of this conference.

‘Which Mirror do you want to lick?’은 2016년부터 소피 데데렌, 라딤 페스코, 아바케가 기획한 순회 전시이다. 이 프로젝트는 사물, 상황, 예술 작품을 통해 대안적 현실에 대해 탐구한다. 이 프로젝트는 전시라는 고유한 매체로 공동 큐레이터, 지리, 지역 역사, 맥락적 변화(디자인에서 예술로, 학교에서 팟캐스트로 등)를 반영한다. 브르노, 니스, 카스터리, 암스테르담, 멜버른, 도쿄에 이어 서울에서 이번 전시가 열린다.

BIOS

åbäke

아바케

WMDYWTL? (Which mirror do you want to lick?)

CZ/FR/B/AUS/JPN

åbäke is an art and design collective founded in 2000 working from London, Copenhagen, and Stockholm. Radim Peško is a typographer and type designer, director of RP Digital Type Foundry.

아바케는 2000년에 설립된 예술 및 디자인 집단으로 런던, 코펜하겐, 스톡홀름에서 활동한다. 라딤 페스코는 타이포그래퍼이자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로 RP 디지털 타입 파운드리의 디렉터이다.

abake.fr
portfolio
åbäke on Wikipedia
Dent-De-Leone

Bryan Ma

브라이언 마

The New School/Parsons School of Design

USA/JPN

Bryan Ma is a creative technologist from New York, designing and building interactive systems and real-time media for emerging platforms and physical spaces. His career began in the video game industry before moving on to experiential media as an installation designer and software developer. Collaborating with design studios like The Green Eyl, Local Projects, Rockwell Lab, and G&A, he bring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echnical rigour, and playful aesthetic to software-based applications and experiences.

Bryan taught code literacy and experimental interface design at The New School and Parsons School of Design from 2015 to 2020 and holds an MFA from the same institution. Currently based in Tokyo, he is currently working on projects in both Japan and the United States.

브라이언 마는 뉴욕 출신의 크리에이티브 기술자로, 디지털 플랫폼과 물리적 공간을 위한 인터랙티브 시스템과 실시간 미디어를 설계하고 디자인한다. 비디오 게임 업계에서의 경험을 시작으로, 현재는 설치 디자이너와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 체험적 미디어를 연구한다. 그는 다학제적 접근방식으로 The Green Eyl, Local Projects, Rockwell Lab, G&A와 같은 디자인 스튜디오와 협업하며 철저한 기술력과 유쾌한 미학의 소프트웨어 기반 경험을 만든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The New School과 Parsons School of Design에서 코드 리터러시와 실험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가르쳤으며, 같은 기관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도쿄를 거점으로 일본과 미국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bryan.ma

Chris Lee

크리스 리 (이정민)

Pratt Institute

USA/CAN

Chris Lee is a graphic designer and educator based in Lenapehoking (Brooklyn, NY), where he i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Pratt Institute in the Undergraduate Communications Design Department. He graduated from OCADU (Toronto) and the Sandberg Instituut (Amsterdam) and has worked for The Walrus Magazine, Metahaven, and Bruce Mau Design. He was also the designer and an editorial board member of the journal Scapegoat: Architecture/Landscape/Political Economy. He recently published his first book, Immutable: Designing History in 2022 with Onomatopee.

크리스 리는 뉴욕 브루클린에 거주하는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교육자로, Pratt Institute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OCAD University와 Sandberg Instituut를 졸업했으며, The Walrus Magazine, Metahaven, Bruce Mau Design에서 근무했다. 또한, Scapegoat: Architecture/Landscape/Political Economy 저널의 디자이너이자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작년에는 Onomatopee에서 그의 첫 번째 저서 『Immutable: Designing History』를 출간했다.

cairolexicon.com
@cairolexicon

David Clarke

데이빗 클락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München/Alchimia Florence

UK

The legendary leading conceptual silversmith in the United Kingdom David Clarke continues to “knock it out of the park!” with witty, timely comments on perceived cultural and social hierarchies. He is particularly known for his recombination of existing historic objects. These deft re-arrangements often see the objects taking on lifelike, psychological qualities. The artist has also done a fascinating series of works in which metal is exposed to salt, sugar, and other substances. These objects are infused with humour and subversion, provoking conversations about both historical traditions and contemporary culture. His work is included in many of the finest public and private collections in the world.

영국의 개념미술가이자 은세공예가 데이비드 클락의 작업은 문화적, 사회적 계층구조에 대한 재치 있고 시의적절한 논평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특히 역사적 유물을 재조합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사물의 교묘한 재구성을 통해 대상에게 심리적 특성을 부여한다. 또한 작가는 금속을 소금, 설탕 및 기타 물질에 노출하며 오브제에 유머와 타도(打倒)의 속성을 첨가하고, 이는 역사적 전통과 현대 문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그의 작품은 세계 곳곳의 공공 및 민간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

mister-clarke.com
@mister_clarke

Gyomyung Shin

신교명

Seoul National University

KR

Shin Gyomyung majored in kinetic modeling and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n obtained a Ph.D.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the same institution. In modern society, technology exerts a profound and far-reaching influence on human existence, extending its impact beyond humanity to the environment in which humans dwell. He is an artist who explores the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between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preparing for the posthuman generation. He held a solo exhibition at the Seoul Arts Center, etc., painting with Lee Il-O (b.2021),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that started operating in May 2021. In addition to painting using the robot, he continues his work by participating in numerous exhibitions such as Gwangju Design Biennale and the KNUE Educational Museum with various works such as design, modeling, and media art.

신교명은 서울대학교에서 키네틱조형과 기계항공공학을 전공하고, 이후 동 대학에서 기계공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대 사회에서 기술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직접적이고 막대한 영향을 끼치며, 그 영향력은 인간을 넘어 자연에도 미친다. 이와 관련하여 그는 인간, 자연, 그리고 기술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탐구한다. 인공지능 로봇 이일오(Lee Il-O, b.2021)와의 페인팅으로 예술의전당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이외에도 디자인, 조형, 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작업으로 광주디자인비엔날레, 한국교원대 박물관 등에서 열린 전시에 참여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gyomyung.shin

Kristian Henson

크리스티안 헨슨

USA/PH

Kristian Henson (Filipino American, BFA Art Center College of Design, MFA Yale School of Art) is a designer, director, and publisher. After an early career designing for Los Angeles-based streetwear and music labels, he shifted his practice to focus on projects with artists, photographers, and art institutions with a primary focus on The Philippines and the Filipino diaspora. In 2013 he co-founded the publishing imprint Hardworking Goodlooking as a means of researching and circulating concepts such as social-practice art making, decolonization in design, vernacular typography, cyber folkways, and local zine culture. Their publications have been featured at The Walker Art Center, Swiss Institute, Harvard GSD, MoMA, Printed Matter, The Gwangju Biennale, Kunsthall Stavanger, 356 Mission and Ulises. Henson has given lectures and taught at Parsons School of Design, Pratt Institute, Yale University,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California College of the Arts, and Central Saint Martins.

Relocating from New York City to Muntinlupa, Metro Manila full-time in 2021, his studio continues to expand into new publishing works and commercial projects.

크리스티안 헨슨은 필리핀계 미국인으로 Art Center College of Design에서 학사, Yale School of Art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디자이너, 감독, 출판인이다. 그는 로스앤젤레스 기반의 스트리트웨어 및 음악 레이블에서 초기 경력을 쌓은 후, 현재는 필리핀과 필리핀 디아스포라 출신 예술가 및 관련 기관과의 프로젝트에 집중한다. 2013년에는 사회적 실천 예술 제작, 디자인 탈식민화, 토착 타이포그래피, 사이버 민속, 지역 진 문화 등의 개념을 연구하고 유통하는 수단으로 출판 인쇄소 Hardworking Goodlooking을 공동 설립했다. 이들의 출판물은 The Walker Art Center, Swiss Institute, Harvard GSD, MoMA, Printed Matter, 광주 비엔날레, Kunsthall Stavanger, 356 Mission and Ulises 등에서 소개되었다. 또한 Parsons School of Design, Pratt Institute, Yale University,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California College of the Arts, Central Saint Martins 등에서 다양한 강연을 했다.

2021년에 뉴욕에서 필리핀으로 이전한 그는 새로운 출판 작업과 상업 프로젝트를 통해 스튜디오를 확장하고 있다.

@kristian_henson

Kwangho Lee

이광호

KLS (Kwangho Lee Studio)

KR

Kwangho Lee was born in 1981 and grew up in a small city next to Seoul, Korea. He completed his studies at Hongik University in Seoul, majoring in Metal Art & Design, and graduated in February 2007. He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Seoul.

Making things by hand was a great joy as a child, reminding his grandfather who, a farmer himself, constantly hand-made daily household goods from natural materials found nearby. Kwangho Lee appreciated the way he looked at everyday objects and thus began to approach things in similar ways; to give new meaning and function to the most ordinary.

His works are included in a permanent collection at the Montreal Museum of Fine Arts, Sydney Powerhouse Museum, and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이광호 작가는 1981년생으로 대한민국 서울 근교의 작은 도시에서 자랐다. 홍익대학교에서 금속공예 디자인을 전공하고 2007년 2월에 졸업했다. 현재 서울에서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다.

이광호 작가는 농부였던 할아버지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 재료로 생활용품을 직접 만들던 모습을 떠올리며 어린 시절부터 손으로 무언가를 만드는 것에 큰 즐거움을 느껴왔다. 그리고 할아버지가 일상적인 사물을 바라보는 방식에 감명받아 비슷한 방식으로 사물에 접근하기 시작했고, 가장 평범한 것에 새로운 의미와 기능을 부여하기 시작했다.

그의 작품은 Montreal Museum of Fine Arts, Sydney Powerhouse Museum,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에 영구 컬렉션으로 소장되어 있다.

www.kwangholee.com
@_kwangho_lee

Silvia Weidenbach

실비아 바이덴바흐

Glasgow School of Art

DE/UK

Silvia Weidenbach is an award-winning jeweller, who fuses the traditional with the contemporary. She uses both historical techniques and new technologies, melding them to create striking pieces of art.

Weidenbach graduated from the Royal College of Art in London and is a leading exponent of new techniques and innovation. She revels in these new possibilities of making which she referred to as 'digital craft', pioneering the use of 3D technologies such as haptic devic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idenbach was the first Gilbert Collection Artist-in-Resident at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in London, where her work is part of its permanent collection. Her pieces are also included in the National Museum of Scotland in Edinburgh, the Germanisches Nationalmuseum in Nuremberg, as well as the Swiss National Museum in Zurich.

She is a Lecturer at The Glasgow School of Art and the London College of Fashion.

실비아 바이덴바흐는 전통과 현대를 결합하는 보석 공예 장인으로 다양한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그녀는 역사적 기법과 새로운 기술을 융합하여 인상 깊은 예술 작품을 만든다.

Royal College of Art를 졸업한 실비아는 새로운 기술과 혁신을 선도하는 인물이다. 햅틱 장치, 인공 지능과 같은 3D 기술의 사용을 개척하면서 '디지털 크래프트'라고 부르는 새로운 제작의 가능성에 집중한다.

실비아는 런던 Victoria and Albert Museum의 첫 번째 길버트 컬렉션 아티스트 레지던트였으며, 그녀의 작품은 박물관의 영구 소장되었다. 또한 스코틀랜드 국립 박물관, 독일 국립 박물관, 스위스 국립 박물관에도 그녀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현재, The Glasgow School of Art와 London College of Fashion에서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www.silviaweidenbach.com
@silviaweidenbach

Sungchul Yang

양성철

PHOENIX Design

KR/DE

Born in 1981 in Korea, Sungchul Yang is a creative designer with over 15 years of professional experience. He received a BA from University of Seoul and he has been carrying his career mostly in Munich, Germany.

After 9.5 years working at Pilotfish, a Munich-based design agency, and holding a design director role, he moved to PHOENIX, a global design & innovation consultancy based in Stuttgart, Munich, and Shanghai. As a principal industrial designer, and part of the leadership team at PHOENIX, his mission has been set to lead global clients to the success of their business through a meaningful user experience across physical and digital contexts. He has worked for/with various global brands such as Samsung, LG, BMW, Mini, Kia Motors, Haier, and Huawei, and received numerous design awards including iF, RedDot, and IDEA, etc.

1981년 한국에서 태어난 양성철은 15년 이상의 전문 경력을 가진 크리에이티브 디자이너이다. 서울시립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주로 독일 뮌헨에서 경력을 쌓아왔다.

뮌헨 디자인 에이전시 Pilotfish에서 9.5년 동안 디자인 디렉터로 근무한 후 글로벌 디자인 및 이노베이션 컨설팅 회사인 PHOENIX로 자리를 옮겼다. PHOENIX의 리더십 일원이자 수석 산업 디자이너로서 그는 물리적 및 디지털 맥락에서 의미 있는 사용자 경험으로 글로벌 고객의 비즈니스 성장을 이끌어 왔다. 삼성, LG, BMW, 미니, 기아자동차, Haier, Huawei 등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와 함께 일하며 iF, 레드닷, IDEA 등 다수의 디자인상을 받았다.

www.phoenixdesign.com

Tereza Ruller

테레자 룰러

The Rodina

NL

Tereza Ruller (she/her) is a communication designer, educator, and co-founder of the design studio The Rodina. In her practice, Ruller investigates the performative and critical approach toward graphic design. Ruller’s work is deeply collaborative and consists of participatory events, spatial installations, virtual environments, and visual identities. Addressing critical issues of our time—such as ecological, social, and political crises—she seeks to develop collective shifts in perspective. Ruller works with educational and cultural institutions such as Harvard GSD, FRONT International Triennial, CARA New York, Van Abbemuseum, Helsinki Biennial, ZKM Karlsruhe, and Columbia GSAPP.

Ruller is a professor of Communication Design and Digital Practices at HfG Karlsruhe. Next to her regular teaching, she is a frequent lecturer and leads workshops internationally – for example at ZHdK (CH), CalArts (USA), RCA (UK), Design Academy Eindhoven (NL), and Central Saint Martins (UK).

테레자 룰러는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이자 교육자이며 디자인 스튜디오 The Rodina의 공동 창립자이다. 그녀는 그래픽 디자인에 대한 수행적이고 비판적인 접근 방식을 연구한다. 주 작업은 참여형 이벤트, 공간 설치, 가상 환경, 시각적 아이덴티티로 구성되며, 철저한 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녀는 생태적, 사회적, 정치적 위기와 같은 우리 시대의 중요한 문제를 다루면서 집단적인 관점의 전환을 추구한다. 그녀는 Harvard GSD, FRONT International Triennial, CARA New York, Van Abbemuseum, Helsinki Biennial, ZKM Karlsruhe, Columbia GSAPP 등의 교육 및 문화 기관과 함께 일한다.

그녀는 HfG Karlsruhe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및 디지털 프랙티스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 외에도 ZHdK, CalArts, RCA, Design Academy Eindhoven, Central Saint Martins 등의 기관에서 강연과 워크숍을 진행한다.

www.therodina.com
@therodina

Yo-E Ryou

요이

Unlearning Space

KR

Yo-E Ryou is an artist, educator, and researcher, currently based in Jeju Island, Korea. Her work weaves untold stories of water and women as part of her hydro-feminist worldmaking practice. She explores different forms of women’s writing to allow alternative way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with an awareness of our fluid positions.

She holds an MFA from Yale University and a BFA from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She has taught and collaborated with various organizations internationally, including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Cooper-Hewitt Design Museu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urchase College (US), London College of Arts (UK), Het Nieuwe Instituut (NL), Paju Typography Institute (KR), UN Women, to name a few. Connecting her artistic practice and research in everyday life, she runs Unlearning Space, an artist-run space and experimental art education programme.

요이는 한국 제주도에 거주하는 예술가이자 교육자, 연구자이다. 하이드로 페미니스트의 시선에서 물과 여성의 관점을 이야기한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 정치, 생태적 환경의 흐름에 따라 개인의 위치가 어떻게 바뀌는지 질문하고, 그간의 사회 구조에서 발화되지 못했던 우리 몸에 배어있는 이야기들을 꺼내어 엮는 ‘여성적 글쓰기’를 실험한다.

Yale University와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에서 시각 디자인을 공부하고 Metropolitan Museum of Art, Cooper-Hewitt Design Museu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urchase College, London College of Arts, Het Nieuwe Instituut, Paju Typography Institute, UN Women 등 에서 다양한 종류의 협업과 강의를 했다. 현재 제주도의 Unlearning Space에서 예술 작업에 기반한 리서치, 리서치에 기반한 예술 작업을 통해, 예술가, 교육자, 연구자로서의 활동을 균형 있게 이어가고 있다.

www.yoeryou.com
@whyr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