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alk maps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imensions of an on-going project called 1882–1982–2019 which entails the design of a “chop suey” typeface and specimen book. The project experiments with typography’s capacity for historical narration and myth-making. The typeface in question is not optimized for legibility, but is rather developed for unpacking critical questions surrou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design, craft, quality, value, and the construction of race. While most of these notions would not be out of place in discourses of typography, the latter term — race — is seldom given serious attention in the field.
This project is framed by a synthesis of scholarly work from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performance studies, whiteness studies, Asian-American studies, and the history of illustration. 1882–1982–2019 is rooted in an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persistence of the anti-Asian tropes as one constitutive element in the construction of normative, white-supremacist ideas around labor, craft, value, and national belonging. It explores how the language and attitudes of such tropes are resonant in typographic discourse, pedagogy, and practice, but also in popular culture, and even, legislation.
This project opens critical questions about the disciplinary aims of typographic history, implicates it in racial discourses, and challenges normative, ostensibly de-racialized, processes of valorization in the field. In other words, 1882–1982–2019 explores the question of how typography participates in creating objects, meanings, and stories that in turn equip the imagination with tools for making worlds.
본 강연은 ‘chop suey’ 서체와 견본책의 디자인을 수반하는 프로젝트 1882-1982-2019의 이론적, 방법론적 맥락을 묘사하고, 타이포그래피의 역사 구연과 신화 창조 능력을 실험한다. ‘Chop suey’ 서체는 가독성을 위해 최적화된 것이 아니라 노동, 디자인, 공예, 품질, 가치, 인종 구성의 관계를 둘러싼 중요한 질문을 풀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러한 논의는 타이포그래피 담론에 자연스럽게 등장할 수 있지만, 앞서 말한 ‘인종’이라는 주제가 진지하게 주목받는 경우는 드물다.
1882-1982-2019는 퍼포먼스 연구, 백인과 아시아계 미국인 관련 연구, 일러스트레이션 역사 등 다양한 분야의 학술적 연구를 종합적으로 구성한다. 이 프로젝트는 반아시아적 비유가 역사적으로 노동, 공예, 가치, 국가적 소속에 관한 규범적 백인 우월주의 사상을 구축하는 하나의 근본적인 요소로서 자리해 온 현상을 관찰한다. 또한 이러한 비유의 언어와 태도가 타이포그래피 담론, 교육, 연구뿐만 아니라 대중문화, 또는 법률에 반영되는 상황을 탐구한다.
본 프로젝트는 타이포그래피 역사의 학문적 목표에 대해 비판적 질문을 던지고, 이를 인종 담론에 함축하며, 표면적으로는 탈인종화된 규범적 가치에 이의를 제기한다. 즉, 1882-1982-2019는 타이포그래피가 사물, 의미, 이야기 창작 과정에 어떻게 참여하는지, 혹은 세계 제작을 위한 상상력 발휘에 어떠한 도움이 되는지 탐구한다.